그룹명/귀촌을 준비하며

겁 없이 시작하다

떠돌이1 2017. 3. 7. 10:18

1500여평의 땅에 무엇을 할까 고민끝에 감나무를 심기로 마음의 결정을 했습니다

직장에 다니면서 휴일에만 짬을 내어 일을 해야한다는 점을 가만하여

유실수중에 손이 가정 적게 간다는 점이 선택의 첫째 이유였지요

추후 소득은 선택하는 조건중에 크게 중점을 두지 안았던 이유이기도 하고요

은퇴후 소일거리를 만드는것이지요

물론 소득이 뒤받침이 된다면 금상첨화구요


아래처럼 벼논을 감나무밭으로 만들기 위해 배수에 초점을 두고 이렇게 큰 공사를 했답니다

모든 유실수가 그렇듯이 배수가 무척 중요하다는 선배님들의 고언을 참작했지요

감나무는 심근성이라 더욱더 땅속의 배수가 중요했구요  논으로 사용하던곳이라  일정부분 땅 밑에 수막층이 있어요


저의 생각에 돈이 들어가는것은 지금 직장에 다닐때 일정한 소득이 매월 발생하니 이때 아니면 나중에 하기가 힘들다는 생각에

그리고 처음 부터 잘 못하면 2중 3중으로 작업해야 하고 나중에 후회할것 같아서 주위의 만류에도 배수에 많은 돈을 들였어요


2011년 9월에 공사한 사진입니다


깊이를 50cm정도(제일상단이니 하단쪽은 70cm정도 되겠지요 )  팠습니다상상단쪽에는 엘보우 사용하여 위로 뽑고 중간에 티자 사용하여 다시 위로 하나 뽑았습니다

유공관 묻힌자리가 중앙이 되도록 (감나무 식재자리)하고 둑을 60~70cm정도 올렸습니다

 

골이 깊고 좁아 차후 농기계가 다니기에 어려움이 있을것 같아  이 부분이 숙제로 남아 있습니다.  배수에 최 우선을 두다 보니 이렇게 두덕이 높게 형성이 되었네요

하단부에는 유공관에서 나오는 물을 확인도 하고 배수가 되도록 깊게 골을 주었습니다

 

감나무 심기 위하여 논에 유공관 묻고 골 작업 했습니다

참고로 소요 경비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면적은 1,000평에 5M * 5M입니다

 유공관은 150 으로  4m 본당 7,300원 * 134 개 = 978,200원

차광막은 6m  * 40m 55%차광  24,000원  * 15개 = 360,000원

유공관 L 보우  3,500원 * 10개  = 35,000원

유공관 T 자     3,500원 * 10개  = 35,000원

포크레인 2대 *3일 * 400,000원 = 2,400,000원

인건비 1명 4일* 100,000원  =  400,000원  (저의 인건비는 제외)

점심식대 13인 * 7,000원 =  91,000원

총경비 : 3,899,000원

 

논이 질어 예상보다 포크레인 작업이 많이 들었습니다

2대 2일예상했는데 2대분이 더 들었네요

급하게 짧은 시간에 가을에 감나무 식제를 할려고 서둘러서  마르지 않은 논에

작업을 하다보니 품이 많이 들었어요  결국엔 가을식재를 포기 했습니다

유공관 작업후 흙이 질어 로타리 작업이 안되고  진 논흙을 쳐 올려 트레타가

들러가면 빠질 위험도 있고 해서 겨울에 눈.비 맟추고 흙을 가라않힌후 건조

되면 노타리 치고 내년 봄에 식재를 해야겠네요

 

감나무 식재후 스프링쿨러  방제시설까지 할려고 준비중인데 앞으로

얼마의 비용이 더 소요될지 모르겠네요